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4

지식격차 가설(Knowledge gap hypothesis) 핵심 요약 및 논의 2

[사례 : 세서미 스트리트] l 세서미 스트리트(Sesame Street)는 도시 빈민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유아 프로그램이다. 이는 부유한 아동과 빈민아동 간의 격차를 좁히는 데 도움을 준다고 한다. l 하지만 시청 결과를 조사한 연구자들은 이러한 주장을 반박했다. 가장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세서미 스트리를 더 많이 시청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시청 효과의 차이는 보여주지 못한다. l 또 다른 연구자는 시청량이 동일하다 해도 유복한 가정의 어린이들이 빈곤가정의 어린이들보다 프로그램에서 더 많은 것을 얻어낸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l 하지만 이러한 경향은 제 4사분점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는데, 이는 중시청자(heaviest viewer)들 사이에서는 지식격차가 확대되기 보다는 좁아질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하..

지식격차 가설(Knowledge gap hypothesis) 핵심 요약 및 논의 1

지식격차 가설(Knowledge gap hypothesis) 독립변인(IV): 매스미디어로부터 유입되는 정보의 양 종속변인(DV): 습득한 지식의 양 조절변인: 사회경제적 지위(SES: Socio Economic Status) 티치노 등(Tichenor, Donohue, & Olien, 1970)이 제시한 가설로부터 시작 [핵심 요약] l 사회 체계에 유입된 매스 미디어 정보가 증가하면, 비교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계층은 지위가 낮은 집단보다 빠른 비율로 정보를 습득하는 경향이 있다. l 집단간의 지식격차는 감소하기 보다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l --> 즉, 사회경제적 상위계층은 하위계층에 비해 더 빠른 속도로 정보를 받아들여 시간이 흐를수록 부유층과 빈곤층이 격차가 더욱 벌어진다는 내용의 이론..

휴리스틱 체계적 모형 VS 정교화 가능성 모델 비교 논의

[ELM vs. HSM 공통점] l 정교화 가능성 모델과 마찬가지로 개인의 정보처리 과정이 두 가지 경로(휴리스틱, 체계적)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 l 두 모델은 모두 개인적인 요소가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 l 커뮤니케이션에서 두 모델이 중요한 이유는 메시지는 결국 모든 정보처리 과정을 거치기 때문이다. [ELM vs. HSM 차이점] l 휴리스틱-체계적 모델의 경우 두 가지 과정이 동시에 활성화될 수 있다. ELM은 하나의 경로로만 정보 처리 l 휴리스틱 정보처리와 체계적 정보처리 모두 인지적인 정보처리인 반면, ELM은 중심경로 정보처리는 인지적인 정보처리, 주변경로 정보처리는 정서과정이다. l ELM은 개인의 행동이나 태도가 정보를 처리하고자 하는 ‘동기’와 ‘능력’에 의..

휴리스틱-체계적 모델 핵심 요약 및 논의

휴리스틱-체계적 모델(Heuristic Systematic Processing Model) [쉽게 외우기] 언제 휴리스틱 처리를 할까 아~ 이거? 아는거야 기존 태도랑 신념이 일치하지? 행동에 대한 확신이 안서는데..? 사회적기준 따라가자(인상동기) -> 휴리스틱 언제 체계적 처리를 할까 어라? 이상하네? 기존에 경험에 내린 판단이 정확할텐데…?(정확성 동기) 기존 태도랑 신념이 안맞는데…?(방어동기) -> 체계적 [핵심요약] l 휴리스틱 처리는 특정 단서 등에 의하여 심리적 지름길(mental shortcuts)을 통해 정보처리가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즉, 시간이나 정보가 불충분하여 합리적인 판단을 할 수 없거나 굳이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판단을 할 필요가 없는 상황에서 사람들이 신속하게 사용하는 어림짐..

정교화가능성모델(ELM) 핵심 요약 및 논의 2

[핵심개념] l 중심통로: 주변통로를 통한 태도변화보다 더 많은 인지적 노력을 필요로 하지만, 중심통로를 통해 태도가 바뀌면 태도변화의 폭도 클 뿐만 아니라 바뀐 태도가 지속하는 시간도 길어진다. l 중심통로를 통한 메시지처리는 필연적으로 설득에 대한 인지반응이 일어난다. 따라서 메시지 수용자가 메시지의 주장들이 적절하고 타당하다고 생각하면 수신자는 메시지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를 형성한다. 그러나 수용자가 설득적 메시지가 논리적이지 않거나 타당하지 않다고 판단하면, 태도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l 주변통로: 주변통로를 거친 태도변화는 메시지 수용자가 설득적 메시지의 주장 자체보다 주변단서(peripheral cue)의 영향으로 태도를 형성하거나 바꾸는 경우리는 가리킨다. 주변단서란 설득적 메시지가 노출되..

정교화가능성모델 (ELM) 핵심 요약과 논의1

정교화가능성모델(ELM; Elaboration Likelihoood Model) 페티와 카치오프(Petty & Caccioppo) 독립변인(IV): 메시지 처리 동기(관여도) 및 능력의 유무 (Motivational factor and ability) 종속변인(DV): 중앙경로 (Central route), 주변경로 (Peripheral Route) [핵심 요약] l 정교화 가능성이란 설득메시지 내용을 인지적으로 숙고하는 정도이다. 즉, 설득 자극에 대해 활발한 인지반응으로 합리적이고 이성적으로 판단 및 평가가 이루어지는 정도를 의미한다. (어떤 사람이 설득적 커뮤니케이션에 포함된 이슈에 관한 주장에 주의 깊게 생각하는 정도) l 정교화 가능성 모델은 개인의 행동이나 태도가 정보를 처리하고자 하는 동기와..

인지부조화이론 핵심 요약과 논의

인지부조화 이론(Cognitive dissonance theory) [핵심요약] 인지부조화란, 서로 다른 두 가지 이상의 신념, 개념, 가치, 태도, 행동으로 인해 (두 가지 이상의 태도, or 태도와 실제 행동 사이) 야기되는 심리적 불균형 상태를 말한다. 심리적 불균형을 해소하고자 태도 or 행동 등을 변화하는데, 변화하고자 하는 심리적 기제 등을 이론에서 다루고 있다 [후속 연구의 보완 – 인지부조화가 일어나기 위한 필요조건] 후속 연구에서는 인지요소가 불일치 한다고 해서 반드시 인지부조화가 일어나는 것은 아님을 밝혔다. 인지요소나 신념의 불일치가 반드시 불유쾌한 감정이나 정서의 변화를 초래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인지 요소 간의 불일치를 느낀다는 것을 넘어 그것을 해소시키려고 하는 동기를 가진..

카테고리 없음 2024.03.17

제3자 효과(third person effect) 핵심 요약과 논의 (제 1자 효과 / 발생 매커니즘 / 한계)

데이비슨(W. P. Davison. 1983) [핵심 요약] l 매스미디어효과가 자기 자신보다 다른사람(제3자)에게 더 클 것으로 생각하는 지각적 편향 l 커뮤니케이션 효과는 ‘나’도 ‘남’도 아닌 ‘제 3자’에 의해서 나타날 수 있다는 것 [사례] 백인과 흑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연합군에게 일본군의 메시지 (‘백인들의 전쟁에 더이상 당신의 목숨을 희생하지 말라’)가 뿌려졌다. 백인들은 흑인들의 사기가 저하될까 두려워 흑인병사들을 그 전쟁에서 즉시 철수시켰다. 놀랍게도 전단지 메시지에 영향을 받은 사람은 흑인이 아닌 백인 장교였던 것이다. [제 3자 효과의 두가지 측면] l 지각적인 요소(perceptual component): 매스 미디어의 메시지가 자신에게는 영향력을 미치지 않지만 상대적으로 제3자인 ..

의제설정이론과 프라이밍 이론 비교

이번에는 의제설정 이론과 프라이밍 이론에 대해 비교해보고자 합니다. 프레이밍 이론과 함께 엮어서 다시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저는 아래 이 문장들을 이해하고 정리하고 나니 3개의 개념을 좀 더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무슨 문제에 대해서 생각해야 할까?”, “어떤 이슈가 강조되고 있지?(현저성)”(의제설정 효과: 인지적 차원) “그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어떻게 그런 이슈가 제시되고 있는가. 즉, 미디어에 보도되는 방식”(프레이밍 효과: 이해와 해석의 차원)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를 넘어서 무엇을 기준(근거) 삼아 그 문제와 관련해 어떻게판단하고 행동(의사결정)해야 할까?”(점화 효과: 의사결정과 행동적 차원) 그리고 이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의제설정프레이밍점..

의제설정 이론과 프레이밍 이론 비교

두 개념을 깊게 공부하다 보면, 어디서 차이점이 존재하지? 비슷한 것 같은데? 라는 생각들이 생길 것 입니다. 아래 두 관점으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편하더라구요! “무슨 문제에 대해서 생각해야 할까?”, “어떤 이슈가 강조되고 있지?(현저성)” (의제설정 효과: 인지적 차원) “그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어떻게 그런 이슈가 제시되고 있는가. 즉, 미디어에 보도되는 방식” (프레이밍 효과: 이해와 해석의 차원) [1단계 의제 설정 vs. 프레이밍 이론] 1단계 의제설정 효과는 미디어가 특정한 이슈를 강조해서 보도하면 개인이나 공중이 그 이슈를 중요한 것으로 인지한다는 것. But, 1단계 의제설정 효과는 특정 이슈에 대한 개인 또는 공중의 의견과 여론이 찬성의 방향으로 변화할 것인지 아니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