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케이션 이론

의제설정이론과 프라이밍 이론 비교

Daye_story 2024. 1. 7. 19:25
반응형
반응형

 

이번에는 의제설정 이론과 프라이밍 이론에 대해 비교해보고자 합니다.

 

프레이밍 이론과 함께 엮어서 다시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저는 아래 이 문장들을 이해하고 정리하고 나니 3개의 개념을 좀 더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무슨 문제에 대해서 생각해야 할까?, “어떤 이슈가 강조되고 있지?(현저성)”

(의제설정 효과: 인지적 차원)

 

“그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어떻게 그런 이슈가 제시되고 있는가. , 미디어에 보도되는 방식

(프레이밍 효과: 이해와 해석의 차원)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를 넘어서 무엇을 기준(근거) 삼아 그 문제와 관련해 어떻게

판단하고 행동(의사결정)해야 할까?

(점화 효과: 의사결정과 행동적 차원)

 

그리고 이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의제설정 프레이밍 점화효과
정의 매스미디어는 특정 이슈를 선별하고, 강조하여 대중들에게 그 이슈가 중요한 것이라고 인식시킨다.
 
 
미디어는 사건의 어떠한 측면을 선택, 강조, 제외, 편집을 수용자에게 제시하는 것, 수용자에게 ‘현실적 의미 구성의 틀’ 을 제시한다. 이전의 발생한 자극이 기억에 남아 후에 행동, 태도 등에 영향을 미친다. 즉, 이를 미디어에 적용, 미디어 콘텐츠는 사람들의 행동 혹은 판단에 영향을 준다.
사례 채플힐 유권자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이슈들이 당시 몇 주간의 미디어에서 강조한 이슈들과 거의 일치한다는 것을 보여주 안락사를 ‘의사가 도와주는 자살’이라는 관점에서 보도하면 의학적 법적 이슈로 틀짓기 하는 것이고, ‘죽을 권리’라는 측면에서 보도하면 도덕적 이슈가 아닌 개인적 선호의 문제로 틀짓기 걸프위기 기간 동안, 부시의 경제문제 수행에 관한 의견보다는 < 대외정책 수행에 관한 의견이 좀더 강하게 부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관련되어 있었다
영향 수용자의 정보 인지
 
가공된 정보의 이해, 해석, 결과적으로 개인의 태도형성, 행동유발 수용자의 정보인지, 판단, 태도형성, 행동유발
 핵심 무엇에 대해 생각하게 할 것인가? 특정 이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 어떤 정보가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1단계 의제 설정과 점화효과를 비교하면 어떠한 차이가 있을까요?

 

[1단계 의제설정 vs 점화효과]

  • 1단계 의제설정 효과는 미디어가 특정한 이슈를 강조해서 보도하면 개인이나 공중이 그 이슈를 중요한 것으로 인지한다는 입장 입니다.
  • 그러나 1단계 의제설정 효과는 특정 이슈에 대한 개인 또는 공중의 의견과 여론이 찬성의 방향으로 변화할 것인지 아니면 반대로 변화할 것인지에 대해 설명을 할 수 없습니다. 즉, 1단계 의제설정이 갖는 한계입니다. 
  • 반면에 점화 효과에 대한 논의는 이러한 1단계 의제설정이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입니다.
  • 점화효과는 ‘미디어가 한 이슈를 중요하게 보도한다면 그 후 여론은 어떤 방향으로 변화할 것인가?'하는 질문에 답을 제시해주기 때문입니다. 
  • 즉 미디어가 특정 이슈를 강조해서 보도하면, 공중은 미디어가 강조한 이슈와 관련된 개념이나 용어를 지배적으로 사용하게 됨으로써 그들의 정치적 판단이나 선택이 영향을 받게 됩니다. 

 

본 블로그의 주된 내용은 아래 논문에서 발췌 및 정리한 것입니다.

대학원에서 스터디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출처

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출판, 오미영 , 정인숙 저자(글))
커뮤니케이션 이론(연구방법과 이론의 활용) (나남 출판, 세버린 외 저자(글) · 박천일 외 번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