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이번에는 의제설정 이론과 프라이밍 이론에 대해 비교해보고자 합니다.
프레이밍 이론과 함께 엮어서 다시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저는 아래 이 문장들을 이해하고 정리하고 나니 3개의 개념을 좀 더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무슨 문제에 대해서 생각해야 할까?”, “어떤 이슈가 강조되고 있지?(현저성)”
(의제설정 효과: 인지적 차원)
“그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어떻게 그런 이슈가 제시되고 있는가. 즉, 미디어에 보도되는 방식”
(프레이밍 효과: 이해와 해석의 차원)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를 넘어서 무엇을 기준(근거) 삼아 그 문제와 관련해 어떻게
판단하고 행동(의사결정)해야 할까?”
(점화 효과: 의사결정과 행동적 차원)
그리고 이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의제설정 | 프레이밍 | 점화효과 | |
정의 | 매스미디어는 특정 이슈를 선별하고, 강조하여 대중들에게 그 이슈가 중요한 것이라고 인식시킨다. |
미디어는 사건의 어떠한 측면을 선택, 강조, 제외, 편집을 수용자에게 제시하는 것, 수용자에게 ‘현실적 의미 구성의 틀’ 을 제시한다. | 이전의 발생한 자극이 기억에 남아 후에 행동, 태도 등에 영향을 미친다. 즉, 이를 미디어에 적용, 미디어 콘텐츠는 사람들의 행동 혹은 판단에 영향을 준다. |
사례 | 채플힐 유권자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이슈들이 당시 몇 주간의 미디어에서 강조한 이슈들과 거의 일치한다는 것을 보여주 | 안락사를 ‘의사가 도와주는 자살’이라는 관점에서 보도하면 의학적 법적 이슈로 틀짓기 하는 것이고, ‘죽을 권리’라는 측면에서 보도하면 도덕적 이슈가 아닌 개인적 선호의 문제로 틀짓기 | 걸프위기 기간 동안, 부시의 경제문제 수행에 관한 의견보다는 < 대외정책 수행에 관한 의견이 좀더 강하게 부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관련되어 있었다 |
영향 | 수용자의 정보 인지 |
가공된 정보의 이해, 해석, 결과적으로 개인의 태도형성, 행동유발 | 수용자의 정보인지, 판단, 태도형성, 행동유발 |
핵심 | 무엇에 대해 생각하게 할 것인가? | 특정 이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 | 어떤 정보가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
1단계 의제 설정과 점화효과를 비교하면 어떠한 차이가 있을까요?
[1단계 의제설정 vs 점화효과]
- 1단계 의제설정 효과는 미디어가 특정한 이슈를 강조해서 보도하면 개인이나 공중이 그 이슈를 중요한 것으로 인지한다는 입장 입니다.
- 그러나 1단계 의제설정 효과는 특정 이슈에 대한 개인 또는 공중의 의견과 여론이 찬성의 방향으로 변화할 것인지 아니면 반대로 변화할 것인지에 대해 설명을 할 수 없습니다. 즉, 1단계 의제설정이 갖는 한계입니다.
- 반면에 점화 효과에 대한 논의는 이러한 1단계 의제설정이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입니다.
- 점화효과는 ‘미디어가 한 이슈를 중요하게 보도한다면 그 후 여론은 어떤 방향으로 변화할 것인가?'하는 질문에 답을 제시해주기 때문입니다.
- 즉 미디어가 특정 이슈를 강조해서 보도하면, 공중은 미디어가 강조한 이슈와 관련된 개념이나 용어를 지배적으로 사용하게 됨으로써 그들의 정치적 판단이나 선택이 영향을 받게 됩니다.
본 블로그의 주된 내용은 아래 논문에서 발췌 및 정리한 것입니다.
대학원에서 스터디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출처
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출판, 오미영 , 정인숙 저자(글))
커뮤니케이션 이론(연구방법과 이론의 활용) (나남 출판, 세버린 외 저자(글) · 박천일 외 번역)
반응형
'커뮤니케이션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교화가능성모델 (ELM) 핵심 요약과 논의1 (2) | 2024.03.18 |
---|---|
제3자 효과(third person effect) 핵심 요약과 논의 (제 1자 효과 / 발생 매커니즘 / 한계) (3) | 2024.03.10 |
의제설정 이론과 프레이밍 이론 비교 (5) | 2024.01.06 |
점화이론(priming theory) 핵심 요약과 논의 (4) | 2024.01.04 |
2차 의제 설정 이론 핵심 요약과 논의 (0) | 2024.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