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두 개념을 깊게 공부하다 보면, 어디서 차이점이 존재하지? 비슷한 것 같은데? 라는 생각들이 생길 것 입니다.
아래 두 관점으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편하더라구요!
“무슨 문제에 대해서 생각해야 할까?”, “어떤 이슈가 강조되고 있지?(현저성)”
(의제설정 효과: 인지적 차원)
“그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어떻게 그런 이슈가 제시되고 있는가. 즉, 미디어에 보도되는 방식”
(프레이밍 효과: 이해와 해석의 차원)
[1단계 의제 설정 vs. 프레이밍 이론]
- 1단계 의제설정 효과는 미디어가 특정한 이슈를 강조해서 보도하면 개인이나 공중이 그 이슈를 중요한 것으로 인지한다는 것.
- But, 1단계 의제설정 효과는 특정 이슈에 대한 개인 또는 공중의 의견과 여론이 찬성의 방향으로 변화할 것인지 아니면 반대로 변화할 것인지에 대해 설명 할 수는 없다.
- 프레이밍 이론은 미디어가 어떤 프레임(틀)을 가지고 이슈를 보도 하느냐에 따라 대중의 인식과 태도가 달라진다는 것을 주장함.
이렇게도 정리할 수 있습니다.
공통점
- 의제설정 이론의 보완을 위해 등장
- 미디어를 통한 정보의 처리 과정이 개인의 인식이나 여론에 영향을 미친다
차이점
- 점화는 특정 개념의 접근성(accessibility)에 따라 그 영향력이 결정: 미디어가 특정 이슈를 반복해서 제시할수록 그 주제의 접근성이 높아지며, 접근성이 높은 개념을 다른 행동이나 판단기준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
- 프레임은 미디어가 제공하는 해석적 틀의 적용성(applicability)에 따라 영향력이 결정: 수용자가 가진 지식체계와 연관성이 높고 잘 적용되는 프레임일수록 수용자의 후속적인 인지과정(해석)에 영향을 미친다.
본 블로그의 주된 내용은 아래 논문에서 발췌 및 정리한 것입니다.
대학원에서 스터디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출처
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출판, 오미영 , 정인숙 저자(글))
커뮤니케이션 이론(연구방법과 이론의 활용) (나남 출판, 세버린 외 저자(글) · 박천일 외 번역)
반응형
'커뮤니케이션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3자 효과(third person effect) 핵심 요약과 논의 (제 1자 효과 / 발생 매커니즘 / 한계) (3) | 2024.03.10 |
---|---|
의제설정이론과 프라이밍 이론 비교 (26) | 2024.01.07 |
점화이론(priming theory) 핵심 요약과 논의 (4) | 2024.01.04 |
2차 의제 설정 이론 핵심 요약과 논의 (0) | 2024.01.01 |
의제설정이론(Agenda setting) 핵심 요약과 논의 (2) | 2024.01.01 |